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제도화 쓰나미의 전조
2025년은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 전면에 등장하는 해가 될 것이다. 이는 단순한 암호화폐 기술의 발전을 넘어 미국의 전략적 금융 무기이자, 글로벌 질서 재편의 중심축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미 미국은 달러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를 포기하고, 민간이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글로벌 결제 인프라를 주도하려 하고 있다. 이는 은행 시스템의 붕괴 없이도 통제력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기 때문이다.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단순한 디지털 화폐가 아니라, ‘더 날카로운 칼’이다. 미국 정부는 이 기술을 통해 글로벌 금융 주도권을 유지하고, 외환 및 무역 질서를 재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동시에 이는 자금세탁 방지, 세금 부과 등 기존 금융 질서에서 문제로 지적된 부분까지 정비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비트코인은 단순한 대체 자산이 아닌, 제도화 흐름 안에서 선택지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달러 스테이블 코인의 등장으로 인해 오히려 비트코인의 투명성과 탈중앙화는 제도권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사람들의 관심이 사라지고 조정이 오는 지금이야말로, 이 거대한 제도적 흐름에 미리 올라탈 수 있는 타이밍이다.
지정학과 비트코인은 내향적 제국주의 시대의 생존 자산
트럼프 시대의 미국은 더 이상 전통적인 외향적 제국주의가 아니다. ‘내향적 제국주의’로 전환한 미국은 더 이상 글로벌 문제에 모든 것을 개입하지 않는다. 대신 국익 중심의 지역 패권 전략으로 움직이고 있다. 이 전략 속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지정학적 자산’이다. 그리고 비트코인은 바로 이 지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미국이 비트코인을 없앨 수 없다면, 보유함으로써 통제하겠다는 전략을 채택한 이유도 여기 있다. 러시아나 중국이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것보다는 미국이 일정량 이상을 보유해 네트워크 상의 ‘접점’을 확보하려는 전략이다. 실제로 미국 정부와 민간 금융기관이 비트코인을 일정 부분 보유하게 되면, 트랜잭션을 통해 거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또한, 비트코인은 더 이상 단순한 자산이 아니라 글로벌 지정학 속에서 ‘탈중앙적 금’으로 기능하고 있다. 에너지 소비, 무역 적자, 강달러 유지 등 미국의 경제정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나아가 국제관세와 국채 소화의 도구로까지 연결된다. 이 복잡한 구조 속에서 비트코인은 규제보다 활용의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곧 장기적 상승 흐름의 근거가 된다.
비트코인의 저력은 침묵 속에서 지금의 조정은 기회
현재 비트코인의 조정은 단기적으로는 하락처럼 보일 수 있으나, 구조적으로 보면 절호의 기회다.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까지의 급등은 트럼프 재선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고, 8만~9만 달러 구간을 충분히 테스트하지 못한 채 10만 달러에 부딪히며 조정을 받은 상태다. 그러나 이는 가격 조정이 아니라 시장의 ‘손바꿈’ 과정이다.
8만 달러 이상에서 매도하려는 투자자들의 물량이 실제로 시장에서 소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상승 구간에서 이들의 물량을 받아주는 구간이 필요하다.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가격이 다시 급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의 조정은 단순한 하락이 아니라, 향후 10만 달러 돌파를 위한 필연적 과정이다.
또한 지금은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이 줄어드는 시점이다. 뉴스 헤드라인에서 비트코인이 사라지고, 사람들의 관심도 감소한다. 그러나 바로 이 순간이 비트코인의 진정한 저력이 발휘되는 시기다. 지난 몇 년간 조용한 시기마다 비트코인은 다음 상승 사이클을 준비해 왔고, 이번 사이클도 예외가 아니다.
2025년은 비트코인이 제도권 금융의 중심에 들어가는 해가 될 가능성이 크며, 단순한 개인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아니라 미국의 전략적 금융 구상 속에서 그 위치를 확고히 할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가격 조정은 오히려 기회로 작용하며, 장기적 관점에서 비트코인의 재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달러 스테이블 코인의 등장, 지정학적 흐름 속의 비트코인 포지션, 그리고 현재의 조정이라는 3가지 키워드는 2025년 비트코인을 이해하는 핵심이다. 투자자는 이 흐름을 장기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단기적인 가격 변동에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더불어, 지금처럼 조용한 시기에 차분하게 포지션을 잡는 것이 향후 수익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